- [23.6] 실행 컨텍스트의 생성과 식별자 검색 과정
- 전역 객체 생성
- 전역 객체는 전역 코드가 평가되기 이전에 생성된다.
- 이때 전역 객체에는 빌트인 전역 프로퍼티와 빌트인 전역 함수, 그리고 표준 빌트인 객체가 추가되며 동작 환경(클라이언트 사이드 또는 서버 사이드)에 따라 클라이언트 사이드 Web API 또는 특정 환경을 위한 호스트 객체를 포함한다.
- 전역 코드 평가
- 소스코드가 로드되면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전역 코드를 평가한다.
- 1. 전역 실행 컨텍스트 생성
- 먼저 비어있는 전역 실행 컨텍스트를 생성하여 실행 컨텍스트 스택에 푸시한다.
- 2. 전역 렉시컬 환경 생성
- 전역 렉시컬 환경을 생성하고 전역 실행 컨텍스트에 바인딩한다.
- 2.1. 전역 환경 레코드 생성
- 기존의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와 ES6의 let,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를 구분하여 관리하기 위해 전역 스코프 역할을 하는 전역 환경 레코드는 객체 환경 레코드와 선언적 환경 레코드로 구성되어 있다.
- 전역 환경 레코드의 객체 환경 레코드와 선언적 환경 레코드는 서로 협력하여 전역 스코프와 전역 객체(전역 변수의 전역 객체 프로퍼티화)를 관리한다.
- 2.1.1. 객체 환경 레코드 생성
- 전역 환경 레코드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인 객체 환경 레코드는 BindingObject라고 부르는 객체와 연결된다.
- 전역 코드 평가 과정에서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와 함수 선언문으로 정의된 전역 함수는 전역 환경 레코드의 객체 환경 레코드에 연결된 BindingObject를 통해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와 메서드가 된다.
- 이때 등록된 식별자를 전역 환경 레코드의 객체 환경 레코드에서 검색하면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를 검색하여 반환한다.
- 함수 선언문으로 정의한 함수가 평가되면 함수 이름과 동일한 이름의 식별자를 객체 환경 레코드에 바인딩된 BindingObject를 통해 전역 객체에 키로 등록하고 생성된 함수 객체를 즉시 할당한다.
- 2.1.2. 선언적 환경 레코드 생성
- let,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는 선언적 환경 레코드에 등록되고 관리된다.
-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선언 단계"와 "초기화 단계"가 분리되어 진행한다.
- 따라서 초기화 단계, 즉 런타임에 실행 흐름이 변수 선언문에 도달하기 전까지 일시적 사각지대에 빠지게 된다.
- let, const 키워드로 선안한 변수도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하나, 일시적 사각지대에 빠지기 때문에 참조할 수 없다.
- 기존의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와 ES6의 let,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를 구분하여 관리하기 위해 전역 스코프 역할을 하는 전역 환경 레코드는 객체 환경 레코드와 선언적 환경 레코드로 구성되어 있다.
- 2.2 this 바인딩
- 전역 환경 레코드의 [[GlobalThisValue]] 내부 슬롯에 this가 바인딩된다.
- 일반적으로 전역 코드에서 this는 전역 객체를 가리키므로 전역 환경 레코드의 [[GlobalThisValue]] 내부 슬롯에는 전역 객체가 바인딩된다.
- 전역 환경 레코드를 구성하는 객체 환경 레코드와 선언적 환경 레코드에는 this 바인딩이 없고 전역 환경 레코드와 함수 환경 레코드에만 존재한다.
- 2.3 외부 렉시컬 환경에 대한 참조 결정
- 외부 렉시컬 환경에 대한 참조는 현재 평가 중인 소스코드를 포함하는 외부 소스코드의 렉시컬 환경, 즉 상위 스코프를 가리킨다.
- 이를 통해 단방향 링크드 리스트인 스코프 체인을 구현한다.
- 외부 렉시컬 환경에 대한 참조는 현재 평가 중인 소스코드를 포함하는 외부 소스코드의 렉시컬 환경, 즉 상위 스코프를 가리킨다.
- 전역 코드 실행
- 동일한 이름의 식별자가 다른 스코프에 여러 개 존재할 수도 있다.
- 따라서 스코프의 어느 식별자를 참조하면 되는지 결정할 필요가 있다.
- 이를 식별자 결정이라 한다.
- 따라서 스코프의 어느 식별자를 참조하면 되는지 결정할 필요가 있다.
- 식별자 결정을 위해 식별자를 검색할 때는 실행 중인 실행 컨텍스트에서 식별자를 검색하기 시작한다.
- 만약 실행중인 실행 컨텍스트의 렉시컬 환경에서 식별자를 검색할 수 없으면 외부 렉시컬 환경에 대한 참조가 가리키는 렉시컬 환경, 즉 상위 스코프로 이동하여 식별자를 검색한다.
- 동일한 이름의 식별자가 다른 스코프에 여러 개 존재할 수도 있다.
- 함수 코드 평가
- 1. 함수 실행 컨텍스트 생성
- 함수 실행 컨텍스트를 생성한다.
- 생성된 함수 실행 컨텍스트는 함수 렉시컬 환경이 완성된 다음 실행 컨텍스트 스택에 푸시된다.
- 2. 함수 렉시컬 환경 생성
- 함수 렉시컬 환경을 생성하고 함수 실행 컨텍스트에 바인딩한다.
- 2.1 함수 환경 레코드 생성
- 함수 렉시컬 환경을 구성하는 컴포넌트 중 하나인 함수 환경 레코드는 매개변수, arguments 객체, 함수 내부에서 선언한 지역 변수와 중첩 함수를 등록하고 관리한다.
- 2.2 this 바인딩
- 함수 환경 레코드의 [[ThisValue]] 내부 슬롯에 this가 바인딩된다.
- [[ThisValue]] 내부 슬롯에 바인딩될 객체는 함수 호출 방식에 따라 결정된다.
- 함수 환경 레코드의 [[ThisValue]] 내부 슬롯에 this가 바인딩된다.
- 2.3 외부 렉시컬 환경에 대한 참조 결정
- 외부 렉시컬 환경에 대한 참조에 함수 정의가 평가된 시점에 실행 중인 실행 컨텍스트의 렉시컬 환경의 참조가 할당된다.
- 자바스크립트는 함수를 어디서 호출했는지가 아니라 어디에 정의했는지에 따라 상위스코프를 결정한다.
- 그리고 함수 객체는 자신이 정의된 스코프, 즉 상위 스코프를 기억한다.
- 1. 함수 실행 컨텍스트 생성
- 함수 코드 실행
- 소스코드가 순차적으로 실행되면서 매개변수에 인수가 할당되고, 변수 할당문이 실행되어 지역 변수에 값이 할당된다.
- 식별자 결정을 위해 실행 중인 실행 컨텍스트의 렉시컬 환경에서 식별자를 검색한다.
- 검색된 식별자에 값을 바인딩한다.
- 1. 전역 실행 컨텍스트 생성
'[자바스크립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DeepDive]24.클로저(2) (0) | 2021.05.29 |
---|---|
[JavaScript/DeepDive]24.클로저(1) (0) | 2021.05.29 |
[JavaScript/DeepDive]23.실행 컨텍스트(1) (0) | 2021.05.27 |
[JavaScript/DeepDive]22.this (0) | 2021.05.26 |
[JavaScript/Node]HTTP 요청 메서드 (0) | 2021.05.25 |